2015년 한해 동안 브롬톤으로 서울에서 당일 치기로 갈 수 있는 거의 모든 코스를 돌아 다녔습니다.
그중 가장 많이 돌아본 하트 코스를 기록을 비교해 봅니다.
![]() |
2015.04 하트코스 |
![]() |
2015.04 하트코스 |
![]() |
2015.04 하트코스 |
봄꽃 시즌에 돌아본 하트코스.
![]() |
2015.11 하트코스 |
![]() |
2015.11 하트코스 |
![]() |
2015.11 하트코스 |
단풍 시즌에 돌아본 하트코스.
브롬톤 14T,19T를 이용한 봄 시즌 하트코스 기록입니다.
엔도몬도는 기본적으로 휴게시간이 포함된 평균 이동 속도를 표기해 줍니다.
기존 12km정도에서 16km로 기록이 크게 상승되었습니다.
![]() |
평페달 전용 슈즈와 브라이튼 310 구입. |
먹통이 자주되는 캣아이 속도계를 버리고 드디어 GPS 기반 속도계 브라이튼310을 구입합니다.
케이던스 센서와 속도 센서까지 달아 더 이상 휴대폰에 의지하지 않고, 신뢰할만한 주행 기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가장 신뢰할만한 기록 데이터는 파워를 측정해야 됩니다.
하지만 쓸만한 파워미터 장비(센서+가민) 가격만 브롬톤 한대급 가격에 버금가니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습니다.
엔도몬도에서 자덕 필수앱 스트라바로 갈아탔습니다.
변경된 브롬톤 기어비에 익숙해지고 상황에 맞춰 브롬톤 6단 기어를 모두 사용합니다.
브롬톤으로 생각지도 못했던 기록이 나왔습니다.
그리고 이 기록은 주행 성능이 더 좋은 버디로 갈아탄 이후에도 한동안 깨지 못하는 개인 기록으로 몇 년간 유지됩니다.
자전거 평속 상승이나 실력 향상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.
이미 기어비가 갖춰진 일반 자전거는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.
브롬톤의 기어 구조상 302%의 넓은 기어비를 6단에 구겨 넣은 문제로,
기어를 올리면 힘들고, 내리면 헛도는 애매한 구간의 기어비를 활용도가 높은 기어비로 고쳐 주행 효율을 높인 데이터입니다.
필요한 기어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.
브롬톤 기어비 계산 및 변경을 고민하고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.
무거운 허브다이나모, 3단 내장기어 저항, 생활 자전거에서 크게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.
20km 정도로 달린다면 생활 자전거로써 부족함이 없는 주행 성능을 보여줍니다.
댓글